북한 위장회사 아프리카 동상 제작…초대형 동상 도면 입수 voakorea.com - get the latest breaking news, showbiz & celebrity photos, sport news & rumours, viral videos and top stories from voakorea.com Daily Mail and Mail on Sunday newspapers.
북한, 코로나 국경 봉쇄로 대중 교역 급감해 심각한 식량난
팔짱 낀 왕이 중국 외교부장(오른쪽)과 리룡남 주중 북한 대사
[신화=연합뉴스 자료사진] (베이징=연합뉴스) 김윤구 특파원 = 북한과 중국이 오는 11일 우호조약 체결 60주년을 맞는 가운데 북중이 밀착 행보를 가속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간 갈등 격화 속에 북중 양국이 관계를 더욱 끈끈하게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최근 두드러진다. 중국은 동북아의 전략적 완충지대로서 가치가 커진 북한을 적극 포용하려 하고 있고, 북한은 그런 자신들의 가치를 십분 활용함으로써 중국을 대미 장기전의 후방 병참기지로 삼으려는 속내가 읽힌다. ◇ 북중, 외교 현안서 상호 적극 변호·지지
광고 중국 주재 북한대사와 북한 주재 중국대사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북한 방문 2주년을 기념해
북한과 중국이 북-중 우호조약 체결 60주년을 앞두고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미-중 갈등과 조 바이든 미국 정부의 역내 동맹 강화에 대응해 북한과 더욱 밀착하고 있습니다. 북한과 중국의 최근 몇 년간 역학관계를 박형주 기자가 되짚어봤습니다.
중국 외교부 왕원빈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오는 11일 60주년을 맞는 ‘북-중 우호조약’에 대해 과거 양국 지도자들이 선견지명으로 내린 전략적 결정으로 양국 관계사에서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 “The signing of the treaty is a strategic decision made with foresight by the older generation of leaders of the two countries and a major event in the history of bilateral relations.”
1961년 7월 11일 당시 김일성 주석과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가 서명한 이 조약
영국 국제통상부가 1일 특정 ‘북한산’ 물품에 대한 수입 금지 규정을 소개한 공고(notice)를 홈페이지에 게시했습니다.
공고문은 구체적인 수입 금지 물품과 예외 대상, 금지 물품을 수입하려 할 경우 필요한 면허 취득 절차와 규정 위반 시 법적 처벌 등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영국은 2020년 1월 31일 유럽연합(EU) 공식 탈퇴, 브렉시트를 앞두고 2019년 3월 자체 대북 제재 관련 법령인 ‘북한 (제재) 규정 2019(DPRK (Sanctions) (EU Exit) Regulations 2019)’를 제정한 바 있습니다.
이 법은 올해 1월부터 기존의 EU 관련 법규를 대신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력과 함께 시행되고 있다고 영국 국제통상부는 밝혔습니다.
영국의 ‘북한 (제재) 규정 2019’는 2006년 채택된 1718호부터 2017년 12월 채택된 2397호까지 총 10건의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에 따른 영국의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