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총장시절 신상보호하고 언론과의 우호적인 관계만들어 대권 도전하려 했던 의도로 생각" 입력 2021-07-20 10:56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인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이 ‘윤석열 리스크’를 언급하며, 윤 전 총장을 꿩에 빗대 “꿩이 추락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20일 추 전 장관은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이 같이 밝히고 경선 전략을 비롯해 정치현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추 전 장관은 장관 재직시절 언론이 윤 전 총장과의 불화를 ‘추-윤 갈등’이라고 비판한 것을 두고 “추-윤 갈등이라고 하면서 윤 전 총장의 문제를 윤 전 총장의 문제가 아니고 갈등의 문제라고 번역을 하니까 윤 전 총장의 실체가 굉장히 부적격하고 다 미화가 됐다”며 “당시 마치 영웅처럼 언론이 취급했다. 권력에 맞짱 뜨는 배짱이 센 정의의 칼을 휘두르는 검찰총장으로 미화했다. 당시 (윤 전 총장 의혹에 대해)제가 수사 지휘도 했고 징계 청구도 했고 했고 결국 지금 드러났는데, 거기에 대해서 한 점 질문을 안 하고 의문을 안 가졌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윤 전 총장을 꿩에 빗대어 “꿩이 추락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추 전 장관은 윤 전 총장의 장모가 구속된 이후 떠오른 윤 전 총장에 대한 각종 의혹들을 거론하며 “(장관 시절에 들여다보니)대체로 다 심각했고, 공소시효가 임박해 가는 문제 때문에 사실은 총장을 상대로 해서 검사들이 제대로 조사도 못 하고 수사도 못 했다”며 “아마도 총장은 대검찰청 산하에 수사정부정책관을 데리고 있다. 그래서 자신에 대한 정보 컨트롤 능력이 있는 거다. 심각한 정보가 들어오면 적당히 무마시키거나 할 수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그래서 윤 전 총장이 총장 시절 자신의 신상 보호도 하고 언론을 통해서 증폭되지 않을 만큼 언론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해 놨다”며 “이런 상황에서 정치를 한다면 정말 꽃가마 탄 채로 국민들은 제대로 검증할 기회도 없었기에 그렇게 대선에 직행을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본인의 의도가 아니었겠나 하는 생각이다”고 분석했다. 이날 추 전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도쿄올림픽 방일 취소를 두고 옮은 결정이라고 칭찬하며 “일본 공사의 망언 이전에도 한일 양국 간에 정상회담 의제에 대한 논의가 좀 있었다”며 “과거사 인식이 잘못되어 있는 데다가 또 그 잘못된 인식으로 비롯된 경제 보복 조치, 수출 규제 문제등이 아직도 안 풀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원전 오염수 방출같은 현안 의제에 대해서 성의 있는 답변이 없다”며 “그런 가운데 밍숭맹숭하게 악수하고 얼굴 보고 웃고 헤어지는 그런 형식적인 회담이라면 우리로서는 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고 전했다. 또 추 전 장관은 최근 경선에서 자신의 지지율이 3위로 반등한 배경을 두고 “다시 촛불, 평화라는 것이 등 돌린 민주당 지지층 마음에 많이 와 닿았다고 한다”며 “실제 현장에서 만나니까 이분들이 제가 가는 곳마다 땀 뻘뻘 흘리면서 ‘힘내라, 추미애’ 해 주시고 부둥켜안고 우시는 분도 있었다”고 현장의 목소리를 전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승리를 하는 데 있어서는 이러한 개혁 응원군, 지지 세력이 두텁게 당에 들어와서 포진해 있어야 되는 건데 아마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에 개혁에 대한 기가 꺾였다”며 “민주당 개혁 의지를 잘 발견하기 어렵다 하고 지지를 유보하고 있거나 관망하던 분들이 제가 ‘다시 촛불, 다시 평화’ 이런 말들에 너무 위로를 받아 현장에까지 달려 나왔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추 전 장관은 이낙연 전 대표의 지지율이 반등한 것을 두고는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꿩(윤 전 총장)이 추락하기 시작하면서 빠지는 표들이 이낙연 후보에게 가는 것 같다”며 “그런 진단도 좀 있는 것 같고, 지난번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바지 발언’ 때문에 또 여성 표가 좀 이 전 대표에게 가지 않았나 생각한다”면서도 그 표들이 자신에게 올 것이라고 자신했다. 또 이 지사의 기세가 주춤한 것을 두고는 “본인의 사이다 같은 기질이 좀 빛바랬다는 게 있는 것 같다. 또 기본소득을 1호 공약이 아니라고 했다”며 “그러면서 성장론을 또 화두로 꺼내고 그렇게 하니까 좀 말 바꾸기 프레임에 갇혔다”고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추 전 장관은 자신의 대표 정책으로 지대개혁을 꼽으며 “양극화, 불평등의 주범이 사실은 자산소득 불공평에서 오는 것이다. 그것이 가장 심각하게는 불로소득에 기반하는 경제 시스템이다”며 “지대개혁이라고 제가 지난 2017년 부터 일찌감치 주장을 해 왔는데 이게 부동산 문제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제반, 특권, 과도한 특권을 말씀드리는 것이고 그것이 땀 흘리는 보통 사람들의 기회를 빼앗아간다, 불공정하다”고 강조했다. 권규홍 기자 spikekwon@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