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유인우주선 &#

보잉 유인우주선 스타라이너 발사 또 연기...이번엔 벼락 폭풍후 장비 문제


페이스북 공유하기트위터 공유하기카카오톡 공유하기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블로그 공유하기네이버밴드 공유하기
보잉의 유인우주선 'CST 100 스타라이너'가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아틀라스V 로켓에 실려 발사를 기다리는 모습이다. 그러나 장비 결함으로 발사가 연기됐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미국 보잉이 개발하는 유인우주선 ‘CST 100 스타라이너’의 시험비행이 장비 문제로 다시 연기됐다. 지난달 29일 국제우주정거장(ISS)이 회전하는 사고가 발생해 30일 예정됐던 발사가 미뤄진 데 이어 두 번째다. 보잉 측은 안전 검증을 마친 후 다시 스타라이너를 발사하겠다고 밝혔다.
 
보잉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3일 오후 1시 20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보잉과 록히드마틴의 합작사인 유나이티드론치얼라이언스(ULA)의 아틀라스V 로켓에 실려 발사 예정이었던 CST 100 스타라이너의 시험 발사 전 추진 시스템에서 예상치 못한 밸브 문제를 발견해 최종 연기됐다고 밝혔다.
 
CST 100 스타라이너는 보잉이 개발 중인 7인승 유인우주선이다. 지구 궤도의 국제우주정거장(ISS)을 오가는 운송체제로 활용된다. NASA는 우주인당 약 8200만 달러(약943억원)의 비용을 내고 러시아 소유스호를 이용하는 대신 ISS 왕복우주선을 민간에게 맡기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보잉은 2014년 9월 42억달러(약4조8808억원)의 유인우주선 개발비용을 받아 스타라이너를 개발해 왔다.
 
이번 발사는 사람 대신 마네킹과 화물을 태워 ISS를 왕복하는 시험비행이었다. 스타라이너는 앞서 지난달 30일 발사 예정이었다. 하지만 러시아의 다목적 실험실 모듈 ‘나우카’가 29일 ISS와 도킹한 후 추진기 재점화로 ISS를 정상 자세보다 45도 기울이는 사고가 발생하며 비행이 연기됐다.
 
스타라이너는 이후 3일 발사하기로 일정을 변경했다. 하지만 2일 케네디우주센터에 벼락 폭풍이 일며 문제가 생겼다. 이후 하드웨어를 검사하던 도중 밸브 이상이 발견됐다. 당초 NASA와 보잉은 4일 추가 발사를 원했으나 밸브 문제가 소프트웨어 문제가 아닌 하드웨어 문제임이 밝혀지면서 문제를 평가하는데 추가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했다.
 
보잉은 3일 우주선의 전원을 끄고 발사체와 우주선을 수직 대기창에 다시 넣은 후 재점검하기로 했다. 향후 발사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ì¡´ 볼머 보잉 부사장은 “우리 팀은 이 임무의 안전과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열심히 일했다”ë©° “우주선이 성능을 발휘하고 우리 팀이 비행할 준비가 되었다고 확신할 때까지 발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Related Keywords

United States , Russia , Russian , , Boeing , National Aeronautics , Space Administration , Boeing United States ,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Earth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Boeing Sep , Russian General Purpose ,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 ரஷ்யா , ரஷ்ய , போயிங் , தேசிய வான்செலவுத்துறை , போயிங்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 சர்வதேச இடம் நிலையம் ,

© 2025 Vimars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