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기술에 &

"탄소중립 기술에 세제혜택 달라" 전기·전자업계의 호소


"탄소중립 기술에 세제혜택 달라" 전기·전자업계의 호소
sns공유 더보기
머니투데이
전기·전자업계가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관련 기술에 대한 세제 지원 확대를 건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삼성전자 (79,800원
800 -1.0%) 등 8개 대표기업 임직원과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영상회의로 '제2차 전기전자 탄소중립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에선 전기·전자 업계의 탄소중립 주요 과제, 업종별 탄소중립 추진 사례 , 정부 지원 추진 현황 등을 공유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김종기 산업연구원 신산업실장은 '전기전자 산업의 탄소중립 주요 과제'로 △에너지 효율화 △에너지 전환 △비에너지 부문 감축 방안 등을 꼽았다. 김 실장은 "탄소중립 이행 과정에서 전기전자 업계의 특성에 맞게 디지털 융합 등 차세대 신기술 적용, 고효율화·친환경화·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생산 구조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별 탄소중립 추진 사례에 대한 발표도 이어졌다.삼성전자는 자원 순환형 제품 개발과 회수·재활용 체계 구축을, LG전자는 국내 최초 제로에너지 건축물 1등급 인증을 관련 사례로 제시했다. LG이노텍은 재생에너지 사업장 적용과 고효율 설비 도입 활성화 추진 상황을 공유했다. 아울러 삼성전기와 LS전선은 각각 고효율 에너지 절감 설비 도입과 신재생에너지용 친환경 제품 투자 확대 및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캠페인) 가입 추진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업계 참석자들은 △탄소중립 전환 기술에 대한 세제 지원 확대 △글로벌 탄소발자국 표준 제정 리더십 확보 △RE100참여 기업 인센티브 지원 확대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진홍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상근부회장은 "전자·전기·전지 업계는 탄소중립 실현과 국가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선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업계의 최신 감축 사례와 기술들이 실질적으로 상용화돼 생산구조의 근본적인 혁신과 산업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탄소중립 관련 연구개발(R&D) 추진 상황, 신규 과제 기획, 인프라 지원 및 기업 시설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 노력 등에 대해 발표하면서, 향후 기업들의 탄소중립 관련 신규 기술개발과 추가적인 정부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약속했다. 산업부 관계자 "범부처 합동 탄소중립 R&D 사업 기획 등 기술 개발 이외에도 탄소중립 R&D 및 시설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 등 업계를 돕기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하겠다"고 전했다.

공감

Related Keywords

Japan , United States , , Development Division ,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 , Ministry Of Industry , Lg Electronics Japan , New Development Division , ஜப்பான் ,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 வளர்ச்சி பிரிவு , தொழில்துறை ஆராய்ச்சி நிறுவனம் , அமைச்சகம் ஆஃப் தொழில் , எல்ஜி மின்னணுவியல் ஜப்பான் , புதியது வளர்ச்சி பிரிவு ,

© 2025 Vimars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