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만 쓰고있&#x

마스크만 쓰고있어도 코로나19 감염 여부 확인 가능해진다


세계일보
입력 : 2021-07-01 09:45:32 수정 : 2021-07-01 09:47:10
인쇄메일글씨 크기 선택가장 작은 크기 글자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기본 크기 글자한 단계 큰 크기 글자가장 큰 크기 글자
하버드‧MIT 연구팀, 호흡서 코로나 감지 ‘웨어러블 바이오 센서’ 개발
90분 이내 마스크 속 바이러스 입자 파악…코로나19 감염 여부 판단
“마스크에 특정 RNA‧수분 결합시 색 변하는 단백질 입혀…정확도 높아”
신종 코로나바이러흐 감염증(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호흡을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된 마스크..네이처(nature) 캡쳐 화면.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쓰는 마스크로 바이러스 감염 여부까지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해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기 때문이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미국 보스턴 헤럴드와 하버드대 학보 하버드 가제트 등은 28일(현지시간)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 대 연구팀이 사람의 호흡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바이오 센서를 개발했다고 보도했다. 
 
논문에 따르면 사람이 이 센서를 장착한 마스크를 쓰고 버튼을 누르면 90분 이내에 마스크 속 바이러스 입자를 파악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판단해준다. 
 
이는 특정 유전물질(RNA)과 수분이 결합하면 색이 변하는 단백질을 마스크에 입혀,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코로나19 RNA와 접촉했을 때 저절로 색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적은 농도의 유전자만으로도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임신 테스터기처럼 맨눈으로 색 변화를 볼 수 있어 일반인들도 쉽게 진단할 수 있다. 
 
연구팀은 정확도가 표준 진단 검사와 비슷하다고 밝혔다. 이 기술이 유해물질이나 병원균을 다루는 의료진의 유니폼에 적용될 경우 병원 내 코로나19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실제 상용화될 경우 복잡한 코로나19 진단 절차와 시간을 간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0701505093
0101040200000
0
2021-07-01 9:47:11
2021-07-01 9:47:10
0
마스크만 쓰고있어도 코로나19 감염 여부 확인 가능해진다
Cube
이승구
bc16ecab-2278-482a-9f6c-9fde7c531894
lee_owl@segye.com
네이버 포스트 공유카카오스토리 공유트위터 공유페이스북 공유
'+ $("#SG_ArticleHeadLine_view").text() +'';
}
html +='
';
html +=' \uC55E\uC73C\uB85C \uB9C8\uC2A4\uD06C\uB9CC \uC4F0\uACE0 \uC788\uC5B4\uB3C4 \uC2E0\uC885 \uCF54\uB85C\uB098\uBC14\uC774\uB7EC\uC2A4 \uAC10\uC5FC\uC99D(\uCF54\uB85C\uB09819)\uC5D0 \uAC10\uC5FC\uB410\uB294\uC9C0 \uC5EC\uBD80\uB97C \uC54C \uC218 \uC788\uAC8C \uB420 \uC804\uB9DD\uC774\uB2E4. \uCF54\uB85C\uB09819 \uC608\uBC29\uC744 \uC704\uD574 \uC4F0\uB294 \uB9C8\uC2A4\uD06C\uB85C \uBC14\uC774\uB7EC\uC2A4 \uAC10\uC5FC \uC5EC\uBD80\uAE4C\uC9C0 \uC9C4\uB2E8\uD560 \uC218 \uC788\uB294 \uAE30\uC220\uC774 \uD574\uC678 \uC5F0\uAD6C\uC9C4\uC5D0 \uC758\uD574 \uAC1C\uBC1C\uB410\uAE30 \uB54C\uBB38\uC774\uB2E4. \uC911\uC559\uC77C\uBCF4\uC5D0 \uB530\uB974\uBA74 \uBBF8\uAD6D \uBCF4\uC2A4\uD134 \uD5E4\uB7F4\uB4DC\uC640 \uD558\uBC84\uB4DC\uB300 \uD559\uBCF4 \uD558\uBC84\uB4DC \uAC00\uC81C\uD2B8 \uB4F1\uC740 28\uC77C(\uD604\uC9C0\uC2DC\uAC04) \uD558\uBC84\uB4DC\uB300\uC640 \uB9E4\uC0AC\uCD94\uC138\uCE20\uACF5\uB300(MIT) \uB300 \uC5F0\uAD6C\uD300\uC774 \uC0AC\uB78C\uC758 \uD638\uD761\uC5D0\uC11C \uCF54\uB85C\uB09819 \uBC14\uC774\uB7EC\uC2A4\uB97C \uAC10\uC9C0\uD560 \uC218 \uC788\uB294 \uC6E8\uC5B4\uB7EC\uBE14 \uBC14\uC774\uC624 \uC13C\uC11C\uB97C \uAC1C\uBC1C\uD588\uB2E4\uACE0 \uBCF4\uB3C4\uD588\uB2E4. \uB17C\uBB38\uC5D0 \uB530\uB974\uBA74 \uC0AC\uB78C\uC774 \uC774 \uC13C\uC11C\uB97C \uC7A5\uCC29\uD55C \uB9C8\uC2A4\uD06C\uB97C \uC4F0\uACE0 \uBC84\uD2BC\uC744 \uB204\uB974\uBA74 90\uBD84 \uC774\uB0B4\uC5D0 \uB9C8\uC2A4\uD06C \uC18D \uBC14\uC774\uB7EC\uC2A4 \uC785\uC790\uB97C \uD30C\uC545\uD574 \uCF54\uB85C\uB09819 \uAC10\uC5FC \uC5EC\uBD80\uB97C \uD310\uB2E8\uD574\uC900\uB2E4. \uC774\uB294 \uD2B9\uC815 \uC720\uC804\uBB3C\uC9C8(RNA)\uACFC \uC218\uBD84\uC774 \uACB0\uD569\uD558\uBA74 \uC0C9\uC774 \uBCC0\uD558\uB294 \uB2E8\uBC31\uC9C8\uC744 \uB9C8\uC2A4\uD06C\uC5D0 \uC785\uD600, \uC0AC\uB78C\uC758 \uC785\uC5D0\uC11C \uB098\uC624\uB294 \uCF54\uB85C\uB09819 RNA\uC640 \uC811\uCD09\uD588\uC744 \uB54C \uC800\uC808\uB85C \uC0C9\uC774 \uBCC0\uD558\uB294 \uC6D0\uB9AC\uB97C \uC774\uC6A9\uD55C \uAC83\uC774\uB2E4. \uC801\uC740 \uB18D\uB3C4\uC758 \uC720\uC804\uC790\uB9CC\uC73C\uB85C\uB3C4 \uCF54\uB85C\uB09819 \uAC10\uC5FC \uC5EC\uBD80\uB97C \uD30C\uC545\uD560 \uC218 \uC788\uC73C\uBA70, \uC784\uC2E0 \uD14C\uC2A4\uD130';

Related Keywords

United States , Harvard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United States Boston Harvard , Massachusetts Institute , All Right Reserved ,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 ஹார்வர்ட் , மாசசூசெட்ஸ் நிறுவனம் ஆஃப் தொழில்நுட்பம் , மாசசூசெட்ஸ் நிறுவனம் , அனைத்தும் சரி ஒதுக்கப்பட்டுள்ளது ,

© 2025 Vimars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