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marsana.com


날개단 수출의 이면…기업 60% 이익률 하락 '삼중고'
sns공유 더보기
머니투데이
최근 수출실적이 개선되고 있지만 수출기업 10곳 중 6곳은 이익률 감소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점유율이 하락하는 기업도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기업 10곳 중 8곳은 시장경쟁 격화로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기저효과와 반도체 경기 호조에 가려진 대다수 수출기업의 경쟁 격화, 시장점유율 하락, 이익률 감소의 '3중고'를 직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글로벌 경쟁상황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 실태'를 조사한 결과, 해외 경쟁강도가 '격화추세'라고 응답한 기업이 79.3%에 달했다. '약화추세'라고 답변한 기업은 15.3%에 그쳤다.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는 요인으로 '경쟁기업 증가'(61.3%·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시장성장세 둔화'가 46.4%, '기술혁신 가속화'가 34.7%였다.
글로벌 시장에서 주로 경쟁하는 기업이 속한 국가로는 중국(42.3%), 미국(26.0%), 일본(20.3%), EU(18.3%) 순으로 나타났다. 베트남(9.7%)을 지목한 기업도 있었다. 국내 기업을 경쟁사로 보는 의견은 35.0%였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수출호조에도 이처럼 글로벌 경쟁격화의 의견이 많이 나온 것은 포스트 코로나로 점차 본격화되는 국제경쟁에 대한 경계심과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며 "특히 반도체, 배터리 등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주요국의 신산업 선점경쟁이 가속화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양적완화 축소, 탄소세 부과 등 새로운 도전과 미래 불확실성이 누적되고 있는 것도 작용하는 듯하다"고 풀이했다.
시장 경쟁이 격화되고 가격인상은 어려워지면서 이익률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응답기업 중 최근 이익률 감소를 경험한 기업은 64.0%였다. 시장점유율 하락을 호소하는 기업도 48.3%에 육박했다.
원가상승을 수출가격에 온전히 반영할 수 있는 기업은 소수에 불과했다. 최근 국제유가 및 원자재가격 상승이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76.3%가 '생산원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답했다. 상승분을 수출가격에 반영하는 정도는 전부 반영하는 기업은 9.2%에 그쳤고 일부만 반영하는 기업이 68.5%,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기업은 12.2%로 조사됐다.
기계장치 제조 A사 관계자는 "원가가 오른 만큼 수출가격에 반영하려고 해도 해외 발주처에서 거부감이 크고 수용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며 "원가 상승이 가격에 반영되는 정도는 잘해야 30% 수준"이라고 밝혔다.
전자부품 수출 B사 관계자는 "주력제품의 수요처가 몇 군데로 정해져 있고 가격경쟁이 치열한 분야라 원가인상을 전가하기 쉽지 않다"며 "지금처럼 원자재가격이 급격히 뛰면 다른 경비를 줄여야 수지를 맞출 수 있어 여유는 없어진다"고 밝혔다.
수출기업들은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 확보를 위한 과제로 '기업간 및 부문간 협업네트워크 구축'(35.3%)을 가장 중요하게 봤다. 다음으로 우수인재 양성(23.7%), 통신.에너지를 비롯한 신산업인프라 확충(15.0%), 데이터.신기술 활용 등의 혁신여건 조성(14.7%), 규제개선(11.3%)을 꼽았다.
최규종 대한상의 기업정책팀장은 "디지털화와 친환경 등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해야 할 시점인데 경쟁격화와 마진감소, 신제품출시 등으로 기업의 연구개발과 미래투자에 대한 부담이 크다"며 "차세대 통신·데이터·에너지 인프라투자 확대, 대규모 투자자금 유치를 위해 펀딩 관련 규제완화 등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Related Keywords

China ,Vietnam ,Republic Of ,Japan ,United States , ,Commerce Japan ,New Industry ,Machinery Manufacturing ,சீனா ,வியட்நாம் ,குடியரசு ஆஃப் ,ஜப்பான்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வர்த்தகம் ஜப்பான் ,புதியது தொழில் ,இயந்திரங்கள் உற்பத்தி ,

© 2025 Vimarsana

vimarsana.com © 2020.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