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marsana.com


중국발 규제 등 잇단 악재로 3000만원 중반대까지 무너졌던 비트코인이 연속적인 호재를 맞으며 4500만원선을 회복했다. 환경오염과 돈세탁의 주범이라는 오명을 벗고 이른바 ‘잡코인’과의 차별화로 인해 투자자들의 수급까지 몰리며 악재들이 점차 해소되는 게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14일 오전 10시 현재 국내 암호화폐(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개당 4587만1000원에 거래됐다. 1주일 전 3600여만원까지 내려갔던 것에 비해 1000만원 가까이 회복했다. 전날 대비로 봐도 13.1% 급등한 가격이다.
고전을 면치 못하던 비트코인이 급반등한 것은 시장을 둘러싼 이른바 3대 악재가 서서히 걷히는 낌새를 보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우선 업비트를 필두로 한 국내 소규모 알트코인(비트코인 외 암호화폐)들의 대규모 ‘구조조정’이 시작되며 투자자들의 수급이 비트코인으로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박을 노리고 ‘잡코인’에 투자했다가 기습적으로 상장폐지를 당하면 손실이 극심한 만큼,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가격 변동 폭이 안정적인 대장주 ‘비트코인’으로 눈을 돌린 게 아니냐는 것이다. 실제로 이날 비트코인은 업비트에서 원화로 거래되는 모든 종목들 중 거래대금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과거에는 가격 변동이 극심한 도지코인 등 소규모 종목들이 1위를 차지하는 일이 잦았다.
글로벌 시세 회복의 신호탄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쏘아 올렸다. 머스크는 13일(현지시간) 트위터에 “테슬라는 비트코인이 시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유동성을 가질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10% 정도만의 보유량을 매각했다”면서 “(비트코인의) 긍정적인 미래 전망이 제시되고, 채굴자들의 합리적인(50%까지의) 클린 에너지 사용이 확인된다면 테슬라는 비트코인 거래 허용을 재개할 것”이라고 적었다. 환경오염을 이유로 비트코인 결제 계획을 취소하겠다고 언급해 시세 하락을 야기한 머스크가 자신의 말을 거둬들인 셈이다. 이 발언이 나온 직후 비트코인은 전날 대비 9% 가까운 상승세를 보였다.
미 법무부가 FBI(연방수사국)와 연계해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해커 집단에 몸값으로 지불한 비트코인 회수에 성공했다는 점은 오히려 전화위복의 계기로 작용했다. 이날 CNBC는 “비트코인으로 범죄 대금을 받으면 사법당국의 추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는 통념이 범죄자들 사이에서 깨지고 있다”면서 “그들은 비트코인보다 더 강화된 보안과 익명성을 제공하는 대시, 모네로, z캐시 등의 알트코인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국제 금융규제기관은 그동안 범죄단체 혹은 테러집단들이 보안과 익명성을 믿고 비트코인을 돈세탁 수단으로 삼을 것이라고 비판해 왔다. 그런데 미 당국이 해커의 비트코인을 회수하면서 ‘범죄용’이라는 오명을 떨쳐내 투자자들에게 ‘클린 코인’이라는 신뢰를 심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Related Keywords

China ,Japan ,United States ,Tesla Bitcoin ,Kim Ji Hoon ,Clean The ,Twitter ,Or Security Division ,National Daily ,Bitcoin More Enhanced Security Division ,United States International ,Us Ministry Of Justice ,Bitcoin Price ,Korean Won ,Elon Musk Tesla Chief Executive Officer ,சீனா ,ஜப்பான்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டெஸ்லா பிட்காயின் ,கிம் ஜி ஹூன் ,சுத்தமான தி ,ட்விட்டர் ,தேசிய தினசரி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சர்வதேச ,எங்களுக்கு அமைச்சகம் ஆஃப் நீதி ,பிட்காயின் ப்ரைஸ் ,கொரியன் வென்றது ,

© 2025 Vimarsana

vimarsana.com © 2020.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