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중앙일보] 이탈리아의 단복은 독특하긴 독특했다. AP=연합뉴스 기름을 잔뜩 바르고 상체를 드러낸 채 입장한 통가의 기수 피타 타우파토푸아. AP=연합뉴스 영국 가디언은 올림픽 개막전을 11장면으로 압축해 눈길을 끌었던 장면을 소개했다.
시작은 엄숙했다. 홀로 트레드밀을 달리는 선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으로 이전보다 더 홀로 자신과 싸움을 해야 하는 시간이 늘어난 선수들과 시대의 상황을 보여줬다. 트레드밀을 달린 선수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세계 최종예선이 취소돼 출전권을 얻지 못한 일본 복서 츠바타아리사다. 홀로 트레드밀을 달리는 퍼포먼스를 한 일본 복서 츠바타 아리사. 인터넷 캡처 이번 올림픽에서는 묵념의 시간도 있었다.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은 사람을 추모하는 시간이었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테러로 희생된 선수들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미국의 퍼스트레이디 질 바이든이 개막식에 참석해 묵념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탈리아의 선수단복은 조르지오 아르마니가 디자인했다. 이탈리아 국기를 팩맨처럼 변형했다. 취향에 따로 좋고 나쁨이 엇갈릴 수 있는 디자인이다. 우주선 승무원복을 연상시키는 라트비아의 은빛 단복도 주목받았다.
라트비아 선수단의 입장 모습. AP=연합뉴스 존 레넌의 '이매진'이 개막식에 사용됐다. 곡을 함께 쓴 오노 요코는 도쿄 출신이다. 오노 요코는 이날 오후 8시 트위터에 '이매진. 존과 나는 아티스트였다. 함께 살며 영감을 나눴다. 이매진은 그때 우리가 함께 믿은 것을 구체화 시킨 것"이라며 "존은 서양에서 왔고, 난 동양에서 왔고 서로 만났다. 우리는 지금도 함께 하고 있다'라고 남겼다.
드론이 경기장 상공에 지구의 모습을 구현했다. 개막식 행사의 드론 사용은 이제 더이상 새롭지 않다. AP=연합뉴스 이 밖에 가디언은 나무를 주요 테마로 사용한 점, 픽토그램을 형상화한 퍼포먼스, 선수단 등장 때 사용된 일본 비디오 게임 음악, TV 중계 요원들의 가벼운 실수, 드론으로 펼친 퍼포먼스, 테니스 스타 오사카 나오미의 성화 점화를 개막식 주목받은 순간으로 꼽았다.